본문 바로가기

많이 물어보는 질문

많이 물어보는 질문

기타
스케일링하고 피가 나는 이유와 피가 나도 잇몸에 문제가 없나요?

피가 멈추지 않고 지속해서 나는 경우는 염증반응 중 하나인데요. 

잇몸에 염증이 있는 경우 스케일링 후에도 피가 나게 됩니다. 

이 피들이 잇몸에 붙어 피떡처럼 굳는데 이건 일종의 혈병이라 보시면 되는데 

대부분 하루 이틀이면 지혈이 되는 편이지만 그 기간이 늘어난다면 반드시 치과를 찾아가야 합니다.


유지장치
교정기 뗏는데 2주동안 유지장치 안하고 있으면 바로 틀어지나요?

교정이 끝난 후에도 유지장치를 하지 않는다면 애써 완성시킨 치열이 다시 흐트러지게 됩니다. 

장기간에 걸쳐 치아를 배열하고 나면 치열은 완성되었지만 그 뿌리를 지탱하는 치조골 조직은 변화된 형태에 맞추어 

아직 완성이 되지 않아 교정기를 제거하고 나면 다시 회귀하려는 성질을 보이기 때문에 유지장치를 꼭 장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아교정
치아교정시 발치를 하는 이유와 안하는 이유가 뭔가요?

모두 부정교합을 가진 분들이 치아를 빼는 것이 아니고 치아가 살짝 어긋나 있거나 

치아 사이의 공간이 붙어있지 않고 어느 정도 여유가 있는 편이라면 발치교정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돌출입이나 덧니, 주걱턱 등 치아의 많은 이동이 필요한 경우, 불가피하게 발치를 선행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치아교정
치아교정시 발치 방법이 다른 이유가 있나요?

치아를 가지런히 배열할 때 공간이 부족한 경우, 돌출입의 경우 돌출된 치아를 

안쪽으로 밀어넣을 공간이 필요할 경우 발치가 필요합니다. 과거에는 발치가 필요했던 경우라 할지라도, 

최근에는 교정용 미니스크류, 교정용 플레이트 등을 통해 발치를 하지 않고서도 치아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하지만 발치교정 시 예후가 더 좋을 수 있으므로 자세한 것은 전문의와 상의하신 후 결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타
영유아 구겅검진 시기는 언제 인가요?

구강검진은 생 후 18개월부터 시작하며 총 3회에 걸쳐 시행하는데요. 

1차는 생후 18-29개월, 2차는 생후 42-53개월 3차는 생후 54-65개월입니다.


기타
이빨 엄청 조금 깨져도 시간 지나면 시린가요?

심하지 않게 약간 손상된 경우라고 해도 그냥 방치할 경우 점점 손상 부위가 커지기 때문에 

주변이 점점 시림이나 통증을 느끼게 된다거나 충치가 발생할 경우 한번에 내부 충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빨이 깨졌을 때 당장 통증이나 불편함을 못느끼더라도 바로 치과에 내원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치아교정
치아교정 후 유지장치 얼마나 하고 있어야 하나요?

고정식으로 치아안쪽으로 얇은 가느다란 철사를 붙이는 고정식 유지장치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고 

가철식 유지장치의 경우 평균 1~2년을 보지만 역시 되도록 오랜기간 사용하는 것이 가지런한 치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기타
신경 치료시 이빨이 시린 이유는?

신경치료 이후 치아와 잇몸의 조직이 예민해져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통증이나 시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증상이 1달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제거되지 않은 신경관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료 후 1달까지는 기다려 보시다가, 

계속해서 동일한 증상을 겪으신다면 치과에 내원하여 검진을 받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치아교정
치아교정을 어떤 종류로 하던 입안쪽 다 허나여?

교정 중 입 안이 허는 가장 큰 이유는 브라켓과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철사 때문입니다. 

날카로운 철사가 입 속의 약한 피부를 자극하는 것이 그 원인인데요.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철사 대신 브라켓 자체적으로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자가결찰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대표적인 자가결찰장치로는 클리피씨, 데이몬 클리어 등이 있습니다.


치아교정
부분교정이 전체교정보다 잇몸에 무리가 덜한가요?

교정 중에 잇몸에 무리가 가는 것의 가장 큰 원인은 플라그로 인한 치주질환입니다. 

부분교정은 전체교정에 비해 브라켓을 덜 붙이고, 치료 기간도 짧아서 잇몸에 무리가 덜 가는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양치질과 치실, 치간칫솔 등으로 구강관리를 철저하게 하지 않으면 부분교정으로도 잇몸에 손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교정 전용 칫솔 등으로 평소보다 구강 관리에 신경을 써서 플라그를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크라운이 신경치료 하는거라 잇몸색이 죽을 수 밖에 없는건가요??

치아의 염증이 잇몸으로 퍼지면 평소의 선홍색에서 퍼런 색으로 변색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 치료 중 치과 기구에 의해 잇몸이 눌리거나, 마취를 한 경우, 잇몸까지 치과 재료를 주입한 경우 잇몸의 색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보통 치료 2~3일 후 잇몸 색은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하지만 증상이 1주일 넘게 지속되고, 

통증이 심한 경우 치과에 내원하셔서 검진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타
임신 초기인데 충치 치료 가능한가요? 얼마 전부터 어금니가 욱씬욱씬 아프네요. 신경치료 이런 거도 되는지요?

임신 초기에는 가급적 응급치료를 제외한 모든 것들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태아의 중요한 기관과 신경의 발달이 일어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13주~26주 기간에 구강관리는 오히려 건강한 임신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되도록 13~26주 기간에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기타
치아에 금가서 진료 받았더니 크라운 해야 한다는데.. 신경치료도 꼭 받아야 할까요?

치과에서 신경치료를 권했다면 받는 것이 좋습니다. 

괜히 방치해두었다가 나중가면 더 큰 고통과 힘든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치아교정
교정한지 1년 넘었는데, 요새 위쪽 어금니가 많이 시린거 같아요. 부작용인가요?

교정 과정에서 통증과 이시림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증상은 서서히 사라질테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치아교정
턱이 약간 돌아가 있는데 교정으로 해결 되나요? 혹시 부분으로도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단순히 아래 윗니가 맞지 않아 턱이 돌아갔을 경우에는 교정치료만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으나 

성인은 성장을 이용한 치료를 할 수 없으므로 안면골의 형태를 바로잡는 수술과 교정을 병행한 치료를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