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많이 물어보는 질문

많이 물어보는 질문

기타
스케일링하고 피가 나는 이유와 피가 나도 잇몸에 문제가 없나요?

피가 멈추지 않고 지속해서 나는 경우는 염증반응 중 하나인데요. 

잇몸에 염증이 있는 경우 스케일링 후에도 피가 나게 됩니다. 

이 피들이 잇몸에 붙어 피떡처럼 굳는데 이건 일종의 혈병이라 보시면 되는데 

대부분 하루 이틀이면 지혈이 되는 편이지만 그 기간이 늘어난다면 반드시 치과를 찾아가야 합니다.


기타
영유아 구겅검진 시기는 언제 인가요?

구강검진은 생 후 18개월부터 시작하며 총 3회에 걸쳐 시행하는데요. 

1차는 생후 18-29개월, 2차는 생후 42-53개월 3차는 생후 54-65개월입니다.


기타
이빨 엄청 조금 깨져도 시간 지나면 시린가요?

심하지 않게 약간 손상된 경우라고 해도 그냥 방치할 경우 점점 손상 부위가 커지기 때문에 

주변이 점점 시림이나 통증을 느끼게 된다거나 충치가 발생할 경우 한번에 내부 충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빨이 깨졌을 때 당장 통증이나 불편함을 못느끼더라도 바로 치과에 내원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기타
신경 치료시 이빨이 시린 이유는?

신경치료 이후 치아와 잇몸의 조직이 예민해져 있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통증이나 시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증상이 1달 이상 지속되는 경우, 

제거되지 않은 신경관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치료 후 1달까지는 기다려 보시다가, 

계속해서 동일한 증상을 겪으신다면 치과에 내원하여 검진을 받아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타
크라운이 신경치료 하는거라 잇몸색이 죽을 수 밖에 없는건가요??

치아의 염증이 잇몸으로 퍼지면 평소의 선홍색에서 퍼런 색으로 변색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 치료 중 치과 기구에 의해 잇몸이 눌리거나, 마취를 한 경우, 잇몸까지 치과 재료를 주입한 경우 잇몸의 색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보통 치료 2~3일 후 잇몸 색은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하지만 증상이 1주일 넘게 지속되고, 

통증이 심한 경우 치과에 내원하셔서 검진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타
임신 초기인데 충치 치료 가능한가요? 얼마 전부터 어금니가 욱씬욱씬 아프네요. 신경치료 이런 거도 되는지요?

임신 초기에는 가급적 응급치료를 제외한 모든 것들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태아의 중요한 기관과 신경의 발달이 일어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13주~26주 기간에 구강관리는 오히려 건강한 임신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되도록 13~26주 기간에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기타
치아에 금가서 진료 받았더니 크라운 해야 한다는데.. 신경치료도 꼭 받아야 할까요?

치과에서 신경치료를 권했다면 받는 것이 좋습니다. 

괜히 방치해두었다가 나중가면 더 큰 고통과 힘든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기타
출산 두달됐고 모유수유 중인데 치과치료 받아도 괜찮은지요?

치과에서 시행하는 국소 마취와 기본적인 치료는 모유 수유에 큰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발치 등의 외과적 시술 전 후에 투약하는 약제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모유 수유 중 특정 약제를 복용해도 되는지 여부는 치과에 물어보시거나, 

산부인과 전문의 선생님과 직접 상의를 하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기타
신경치료하고 유치크라운 할 경우 하루만에 끝낼 수 있나요?

신경치료 하고 난 후 유치크라운을 하실 경우,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기성품을 깎아서 바로 올리는 경우 당일 치료가 가능하지만, 

맞춤 보철물을 씌우는 경우 제작 기간 때문에 2회 이상 내원하여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기타
성인도 수면치료 가능한가요? 수면치료 비용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임플란트나 혹은 큰 수술 같은 경우에는 수면치료를 진행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대부분이 치과공포증이 그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비용의 경우 치과마다 가격이 다르기에 치과에 직접 내원을 하시거나 혹은 전화를 해보시는 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아실 수 있습니다.


기타
출산한지 한달 됐는데 신경치료 가능한가요?

임신 중에는 시기에 따라 치과 진료를 피하시는 것이 좋으나, 

출산 후에는 진료에 크게 지장이 없어, 얼마든지 치료를 진행하셔도 괜찮습니다.


기타
8살 아이가 치과만 가면 엄청 우는데 충치치료를 어떻게 받아야할지 고민이네요. 수면치료는 안전한건가요?

수면치료는 전신마취가 아니기에 치료과정 중 소아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또 수면치료를 잘하는 의료진을 고르기 보다는 소아에게 치과공포증을 줄여주는 곳을 찾으시는 게 더 도움이 됩니다.


기타
임신 준비 중인데 시험관 시술하고도 치과 신경치료 등 받아도 될까요?

많은 분들이 임산부는 치과 치료를 받으면 안된다는 말을 믿고 계시지만 이는 잘못된 속설이며, 오히려 치료를 제대로 받지 않아 치료 시기를 놓치면 태아에게 더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임신 초기에 태아가 자리잡는 과정에서 신경치료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치료를 받기 이전에 임신 개월 수를 명확하게 밝히시는 것이 좋습니다.